복지 정책 / / 2023. 3. 14. 10:08

청년도약계좌 지원내용 총정리!

반응형

 

 

 

정부-지원-청년-도약-계좌-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신청-방법

본문에서는 2023년 6월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을 확인하셔서 필요한 혜택 받으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대상, 지원혜택, 신청방법

2023년 6월 출시 예정인 청년도약계좌의 지원대상과 지원내용, 신청방법, 사용방법에 대해 확인해 보겠습니다. 

 

가입대상 : 개인소득과 가구소득기준을 충족하는 만 19~34세의 청년

가입기준

  • 매년 중위소득 180% 이하의 가구소득이나 개인소득이 7500만원 이하
  • 병역 이행기간은 청년 연령 계산에 반영되지 않음
  • 직전 3년간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합인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초과하고 1번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된 경우 가입 제한
  • 국세청에 신고된 공식 소득이 있어야 가입가능 (아르바이트 생도 신고소득이 있으면 가입가능)

 

가입 전 유의사항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지원 상품과 동시 가입 가능
  •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상품과 동시 가입 가능
  • 문재인 정부의 '청년희망적금'과는 중복 가입 불가능, 단 만기 도래나 중도해지 후에는 청년도약계좌 가입 가능

 

 

 

지원혜택 : 정부기여금과 이자를 합산하여 만기 수령액 지급

청년도약계좌 상품내용

 

개인소득과 가구소득기준을 충족하는 만 19~34세의 청년이 매달 70만원 이내로 5년간 저축을 하면 약 5000만 원 정도의 자금을 모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매달 70만 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으며 가입 후 5년 만기로 첫 3년은 고정금리를, 나머지 2년은 기준금리를 반영한 변동금리를 적용합니다. 

 

최종 만기 수령액은 가입자에게 가입자가 납입한 금액에 정부기여금과 이자를 합산하여 지급됩니다. 이자 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될 예정입니다. 금리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정부기여금 등을 고려하면 시중 적금보다 유리하게 책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는 상품 만기 후에도 청년층이 자산형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정책상품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예금, 적급 납입내역을 개인신용평가 가점으로 반영하는 방안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인 소득별 기여금 지급 구조

 

개인소득
(총급여기준)
본인 납입한도() 기여금 지급한도() 기여금 배정비율 기여금 한도()
2400만원 70만원 40만원 6.0% 2.4만원
3600만원 50만원 4.6% 2.3만원
4800만원 60만원 3.7% 2.2만원
6000만원 70만원 3.0% 2.1만원
7500만원 - - -

청년도약계좌는 저소득층 청년에게 우대금리 등 더 많은 혜택을 부여합니다. 개인소득 6000만원6000만 원 이하의 청년은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으며, 개인소득 6000만 원 이상 7500만 원 이하인 청년은 비과세 혜택만 받게 됩니다.

납입 기간인 5년 동안 정부는 매년 소득 심사를 통해 기여금 지급 여부와 규모를 조정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신청방법 : 청년도약계좌 취급 기관을 통해 6월부터 12월가지 비대면으로 가입신청

정부는 지정된 요건을 만족하는 금융기관을 청년도약계좌 취급기관으로 선정할 계획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취급기관이 추후 공고된 후 2023년 6월부터 12월까지 매월 2주간 비대면으로 가입 신청을 받고, 2~3주 내에 심사 결과를 통보한다고 합니다.

 

 

 

마무리 

이상 본문을 통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기준, 혜택, 신청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고금리 시장의 흐름에 따라 가입 후 3년간 유지되는 고정금리에 대한 아쉬움도 있지만 청년들의 목돈 만들기에 적합한 저축상품으로 보입니다. 정부의 정부기여금이 유리한 혜택으로 작용하니 조건이 맞다면 신청하셔서 정부가 제공하는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